Dashboard

1006

총 등록 자료 수

전체 등록 자료

1000

이미지 자료 수

jpg 이미지 자료

3

동영상 자료 수

m3u8 변환 완료 동영상

3

기타 자료 수

pdf 등 기타 자료
날짜별 미디어월 컨텐츠 터치 횟수(최근30일)
종류별 조회 수 (최근 30일)
종류 조회수
이미지자료 1811
동영상자료 4
기타 5
종류별 조회 수 (최근 1년)
종류 조회수
이미지자료 15573
동영상자료 60
기타 28
조회순위 (최근 30일)
  • 아후실행록(유서)13 회

    -

  • 매사냥12 회

    매사냥은 훈련된 매를 날려 보내어 꿩이나 토끼 등을 사냥하는 것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조선시대 이후까지 지속 전승되었으며, 현재 진안 백운면 일대에 매사냥의 전통이 이어오고 있다. 매사냥은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 우리나라를 넘어 아시아·유럽 등지에서 두루 행해지며 여러 국가가 함께 공동등재 하였다.

  • 천황사 대웅전12 회

    천황사의 중심 법당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도록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 유언11 회

    -

  • 금당사 목불좌상10 회

    금당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후기 불상으로, 삼존불 중 가운데 본존불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기타_노트10 회

    -

조회순위 (최근 1년)
  • 아후실행록(유서)76 회

    -

  • 이덕응 초상화(유복)65 회

    수당(守堂) 이덕응(1866~1949)이 51세 되던 해에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 3점 중 하나로, 유복(54.5×94cm)을 입고 있는 모습이다. 이덕응은 중종(中宗)의 아들 덕흥대원군의 후손으로, 진안 주천면에 화양도원(華陽道院)을 열어 후학을 양성하고, 조선의 광복을 기원하는 황단제를 지냈다.

  • 유언62 회

    -

  • 기타_노트55 회

    -

  • 조병순 초상화55 회

    수당 이덕응의 제자 조병순이 24세 되던 해에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로, 진안 주천면 황단(皇壇)으로 추정되는 야외에서 입상(立像) 형식으로 그려졌다. 초상화의 크기는 가로 54cm, 세로 94cm이다.

  • 이덕응 초상화(평복)54 회

    수당(守堂) 이덕응(1866~1949)이 51세 되던 해에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 3점 중 하나로, 평복(54×94cm)을 입고 있는 모습이다. 이덕응은 중종(中宗)의 아들 덕흥대원군의 후손으로, 진안 주천면에 화양도원(華陽道院)을 열어 후학을 양성하고, 조선의 광복을 기원하는 황단제를 지냈다.

  • 천황사 전나무53 회

    사찰의 번창을 위해 약 400년 전 심어졌다는 이 전나무는 높이 35m, 둘레 5.7m 크기로, 우리나라 전나무 중 규격이 가장 크고 나무의 모양과 수세가 매우 좋은 편이라고 한다.

  • 재궁마을 우물52 회

    척금마을 동북쪽으로 미락골을 지나면 널직한 산속의 마을인 재궁이 나오는데, 재궁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여기에는 절에 딸린 우물이 있었는데, 식수와 약수로 이용하였다.

  • 신기영 초상화51 회

    수당 이덕응의 제자 신기영이 20세 되던 해에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로, 진안 주천면 황단(皇壇)으로 추정되는 야외에서 입상(立像) 형식으로 그려졌다. 초상화의 크기는 가로 54cm, 세로 94cm이다.

  • 천황사 괘불도51 회

    대웅전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괘불도로,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불교의식에서 야외에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걸어두는 불화이다. 크기는 가로 337cm, 세로 791cm 이다

  • 마이산50 회

    약 1억년전 지구의 지각운동으로 형성된 역암층 바위산으로, 높은 두 개의 산봉우리가 마치 말의 귀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조선 태종(太宗)이 마이산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 운산리 삼층석탑50 회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으로, 본래 위치에서 약 500m 옮겨졌다고 한다. 석탑은 내후사마을에 위치하는데, 주변에 절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이덕응 초상화(금관조복)50 회

    수당(守堂) 이덕응(1866~1949)이 51세 되던 해에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 3점 중 하나로, 금관조복(60×133cm)을 입고 있는 모습이다. 이덕응은 중종(中宗)의 아들 덕흥대원군의 후손으로, 진안 주천면에 화양도원(華陽道院)을 열어 후학을 양성하고, 조선의 광복을 기원하는 황단제를 지냈다.

  • 황방촌 영정49 회

    조선시대 유명한 정승 황희(黃喜)의 초상화로, 방촌(厖村)은 황희의 호(號)이다. 이 영정은 황희 정승이 62세 되던 시기의 초상으로, 석지 채용신이 모사하였으며, 국가표준영정으로 지정되어 있다.

  • 대방마을 마을역사를 많이 아는 조익선씨47 회

    대방마을 마을역사를 많이 아는 조익선씨

  • 가림리 줄사철나무46 회

    은천마을 앞 마을 공동숲에는 수령 200년 이상의 줄사철나무 3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느티나무, 팽나무 등과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 금당사 소장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45 회

    조선 세조가 강진 무위사의 잡역을 면제하도록 명령을 내린 국가의 공식적인 교지 문서로, 진안 금당사에 소장되어 있다.

  • 수선루44 회

    자연암반으로 형성된 암굴에 위치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룬 2층 형식의 누정으로, 연안송씨 4형제 송진유·명유·서유·철유가 건립하였다.

  • 은수사 청실배나무44 회

    가을에 청록색 배가 열리고, 봄에 흰 배꽃이 피는 청실배나무는 남아있는 개체수가 많지 않다. 은수사 청실배나무는 수령이 600년 이상으로 조선 태조(太祖)가 심었다고 전한다.

  • 여의곡마을 사람들44 회

    여의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0세대 21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원월평마을 사람들43 회

    원월평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3세대 293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제목 GI000040-0143 회

    -

  • 경대마을 사람들43 회

    경대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6세대 13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태고정43 회

    용담현령 홍석(洪錫)이 지은 정자로, 송준길이 쓴 ‘태고정’ 편액이 걸려 있다. 본래 용담면 옥거리에 있던 것을 용담댐 건설로 인해 용담 망향의 동산으로 옮겨 놓았다

  • 와룡암42 회

    조선 중기 문신인 긍구당(肯構堂) 김중정(金重鼎)이 병자호란 때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던 중 유생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암자로, 1827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고 한다.

  •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42 회

    줄사철나무는 줄기에서 나는 뿌리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기어오르는 습성을 갖고 있는데, 마이산의 줄사철나무는 우리나라 내륙지방에서 줄사철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한계선으로 알려져 있다.

  • 원갈현마을 사람들42 회

    원갈현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1세대 15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영모정42 회

    신의련(愼義蓮)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자로, 지붕에 너와를 얹었으며, 물길이 흐르는 절벽에 위치하여 자연과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 용평초등학교와 학생들42 회

    용평초등학교는 1946년 정천공립초등학교 분교로 신연(새벼루)마을에 세워졌다가 1951년 승격하였으며, 1958년 운암마을로 옮겨졌다.

  • 대방마을 새마을뜸41 회

    대방마을 새마을뜸

  • 진안향교 대성전41 회

    진안향교는 공자와 옛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진안현 지역에 세운 교육기관으로, 중심이 되는 건물이 대성전이다.

  • 마이산 탑41 회

    마이산 탑은 마이산 탑사 내에 다듬지 않은 작은 돌들로 원추형 혹은 기둥 모양으로 쌓아 놓은 80여기의 돌탑들을 말한다. 이 탑들은 약 100여년 전 이 곳에 살았던 이갑룡(李甲用) 처사가 쌓았다고 알려져 있다

  • 매사냥41 회

    매사냥은 훈련된 매를 날려 보내어 꿩이나 토끼 등을 사냥하는 것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조선시대 이후까지 지속 전승되었으며, 현재 진안 백운면 일대에 매사냥의 전통이 이어오고 있다. 매사냥은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 우리나라를 넘어 아시아·유럽 등지에서 두루 행해지며 여러 국가가 함께 공동등재 하였다.

  • 진안성당 어은공소40 회

    진안 최초의 천주교 본당으로 운영된 공소로, 우리나라 초기의 한옥 성당 건축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 갈두마을 사람들40 회

    갈두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2세대 8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진안고원형옹기장40 회

    진안지역은 100개소 이상의 도요지가 존재하는 곳으로, 옹기 생산의 재료가 되는 흙과 땔감이 풍부한 이점을 갖고 있다. 진안고원형옹기장 보유자 이현배 옹기장은 백운면에서 옹기점을 운영하며 진안의 도자문화의 전통과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현배 옹기장이 제작한 달항아리와 전골솥은 2008년 유네스코 우수공예품으로 인정받기도 하였다.

  • 신촌마을 사람들40 회

    신촌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6세대 23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하가막마을 사람들40 회

    하가막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세대 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조림초등학교40 회

    양촌마을의 조림초등학교는 1963년 개교하였다.

  • 도통리 청자요지39 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초기청자 가마터로, 청자의 발생과 전파과정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가마의 조성과 관련 후백제 견훤과의 연관성도 제기되고 있다.

  • 평지리 이팝나무 군39 회

    이팝나무란 이름은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꽃으로 뒤덮여 이밥(쌀밥)과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평지리 이팝나무는 서해안 내륙에서 이팝나무가 살 수 있는 가장 북쪽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 망덕마을 사람들39 회

    망덕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3세대 22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강정리 오층석탑39 회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으로, 현재 보흥사 경내에 있다.

  • 대방마을 사람들38 회

    대방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7세대 12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금당사 목불좌상38 회

    금당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후기 불상으로, 삼존불 중 가운데 본존불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천황사 대웅전38 회

    천황사의 중심 법당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도록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 장음마을 사람들38 회

    장음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4세대 8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항동마을 사람들38 회

    항동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3세대 14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회사동 석탑38 회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으로, 전체 높이는 160cm이다. 주변에 회사동 절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대방마을 회관38 회

    대방마을 회관

  • 금당사 괘불탱 37 회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법당 앞 뜰에 걸어 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으로, 이 괘불의 크기는 길이 829cm, 폭 455cm 이다.

  • 금지마을 사람들37 회

    금지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세대 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용담향교 대성전37 회

    용담향교는 공자와 옛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용담현 지역에 세운 교육기관으로, 중심이 되는 건물이 대성전이다.

  • 대산마을 사람들37 회

    대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124세대 40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만육 최양선생 유허비 37 회

    고려 후기 문신인 최양(1351~1424)은 고려가 망하자 진안 팔공산에 들어가 은거하는 등 충절을 지켰는데, 이를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비이다.

  • 두곡마을 사람들37 회

    두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78세대 24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태평봉수대37 회

    봉수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 통신수단으로, 태평봉수대는 삼국시대 조성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이포마을 사람들36 회

    이포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76세대 37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대량리 제동유적36 회

    구리를 생산했던 흔적이 확인된 매우 드문 유적으로, 동광석을 제련하여 구리를 생산했던 1차 공정이 비교적 명확하게 조사되었다. 특히 문헌에 기록된 ‘동향소(銅鄕所)’의 실체를 보여주는 유적으로 주목되고 있다.

  • 임진왜란 웅치 전적36 회

    임진왜란 당시 호남과 전주성 장악을 위해 침입한 1만여명의 왜적과 1천여명의 관군·의병이 맞선 웅치전투 현장으로, 진안 부귀면 세동리에서 완주 소양면 신촌리로 넘어가는 ‘웅치’ 고개에 위치한다.

  • 모곡마을 사람들36 회

    모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5세대 14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지선당36 회

    반남 박씨 집안에서 진안군 동향면에 가장 먼저 정착한 박지영(朴之英)을 모시기 위해 건립한 재각(齋閣)으로, 문중 자제와 지방 후학들의 교육도 담당하였다.

  • 승금마을 사람들36 회

    승금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6세대 17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운암마을 사람들36 회

    운암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 인해 45세대 16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백운면의 물레방아 36 회

    떨어지는 물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 곡식을 찧거나 빻는 기구이다.

  • 강정리 근대한옥35 회

    근대기 농촌주택에서 보기 드문 2층집으로, 풍수적 내용과 지방 한옥 양식이 혼합된 양식이다. 한국 근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내송마을 사람들35 회

    내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1세대 5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엿가위35 회

    -

  • 괴정마을 사람들35 회

    괴정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8세대 2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민속촌이라 부르던 집35 회

    황산마을에는 초가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민속촌이라 부르던 집이 있었다. 용담댐 건설로 인해 황산마을에서는 47세대 17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이산묘35 회

    면암 최익현과 연재 송병선의 제자모임인 현현계와 친친계에서 두 분 선생을 기리며 태조 고황제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사우(祠宇)로, 이산묘 내에는 회덕전‧영광사‧영모사‧대한광복기념비 등이 위치하고 있다.

  • 성암마을35 회

    성암(星岩)마을은 바위가 별처럼 둘러싸고 있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금지마을34 회

    금지(琴池)마을은 마을의 뒷산이 거문고 줄처럼 여섯가닥이 뻗어 있어 거문고 ‘금’자를 따고, 옛날부터 못이 있어 못 ‘지’자를 따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하거마을 사람들34 회

    하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1세대 16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양지마을 사람들34 회

    양지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9세대 13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회곡마을 사람들34 회

    회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15세대 35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구곡마을 사람들34 회

    구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3세대 175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봉소마을 사람들34 회

    봉소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세대 1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신연마을33 회

    신연마을은 새길을 중심으로 웃뜸과 아랫뜸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

  • 호암마을 사람들33 회

    호암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0세대 183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하보마을 사람들33 회

    하보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1세대 163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발령통지서33 회

    -

  • 원장마을 사람들33 회

    원장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102세대 34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하거마을33 회

    하거(下渠)마을은 배산임수의 마을 중 아래쪽에 있는 물 맑은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대방마을 거리제를 지내던 둥그나무 거리33 회

    대방마을 거리제를 지내던 둥그나무 거리

  • 원와룡마을 사람들33 회

    원와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3세대 22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신기마을 사람들33 회

    신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1세대 15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상전면사무소33 회

    원래 상전면사무소는 운산리 언건에 있었는데, 1986년 수동리 대산으로 옮겨졌으며, 용담댐 수몰 이후에는 주평리에 옮겨졌다.

  • 대방마을33 회

    대방(大芳)마을은 산줄기, 물줄기, 길줄기가 태극의 모양으로 삼태극을 갖춘 마을로, 난리를 피하는 큰 터란 뜻에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대방마을 닥나무를 찧어 한지를 만들던 바위32 회

    대방마을 닥나무를 찧어 한지를 만들던 바위

  • 주천서원 32 회

    주자를 중심으로 여대림·주잠·이황·이이·김충립·김중정 등 7인을 기리고 있는 서원으로, 처음 광산김씨문중 사당으로 ‘주천사’라 하였다가 1975년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 원장마을32 회

    원장(元長)마을은 원장리와 장미룡리 마을이 통합되어 마을을 이루면서 두 마을 이름의 머릿자를 따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신연마을회관32 회

    신연마을회관은 1974년에 세워졌다. 신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 인해 76세대 285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대방마을 빨래터32 회

    대방마을 빨래터

  • 오동마을 사람들32 회

    오동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7세대 14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승금마을32 회

    승금(勝金)마을은 용담의 안천, 동향의 산물을 운반하기 위해서 배를 이용하던 곳이었다고 한다.

  • 성남마을32 회

    성남(城南)마을은 마을 주변의 성안산에 옛 성터가 있는데, 성이 있는 산의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원월평마을32 회

    원월평(元月坪)마을은 정자천이 반달처럼 마을을 휘감아 돈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놋숟가락32 회

    -

  • 교동마을 사람들31 회

    교동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3세대 11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망덕마을31 회

    망덕(望德)마을은 운장산, 덕유산, 마이산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어 앞으로 크게 유망하리라는 뜻으로 이름 지었다고 한다.

  • 모곡마을31 회

    모곡(募谷)마을은 모실이라고도 하는데, 모정리에서 으뜸가는 마을을 만들기 위해 서로 돕고 사모하는 마음으로 살자는 뜻에서 사모할 ‘모’자를 써 이름 지었다고 한다.

  • 성석린 고신왕지31 회

    조선 태종이 성석린(1338-1423)에게 내린 왕지로, 성석린을 영의정부사겸판개성유후사사(領議政府事兼判開城留後司事)에 임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농산마을 사람들31 회

    농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0세대 19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원월계마을31 회

    원월계(元月溪)마을은 논으로 둘러쌓인 물 가운데의 마을로, 달계 또는 달기하고도 불렸는데, 벌판을 옥토로 만들기 위해 닭이 우는 새벽부터 일을 하여 ‘닭이동네’라 하였다가 달계, 월계로 변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송림마을 사람들31 회

    송림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8세대 8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음촌마을 사람들31 회

    음촌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6세대 9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운암마을 사람들31 회

    운암마을에는 용담댐 건설 당시 45세대 160명이 살고 있었다.

  • 평은마을31 회

    평은(平隱)마을은 마을 뒤 매봉산이 병풍을 친 듯 아늑하게 둘러있고, 앞으로는 금강이 흐르며, 너른 들이 있어 평안한 곳일 뿐만 아니라, 마을 밖에서 보았을 때에는 많은 수목이 있어 마을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황산마을31 회

    황산(黃山)마을은 마을의 땅을 파면 황토가 많이 나온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금평마을 사람들31 회

    금평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7세대 2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여의곡마을31 회

    여의곡(如意谷)마을은 마을 서쪽 여시골이 여우형상으로, 그 곳에 여우바위가 있는데, 모든 일이 여시가 돌봐야만 된다는 옛말처럼 모든 일이 마음먹은대로 이루어지리라는 뜻으로 이름 지었다고 한다.

  • 동촌마을31 회

    동촌(東村)마을은 봉학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용담면 망향동산31 회

    -

  • 언건마을 사람들31 회

    언건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세대 2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회곡마을30 회

    회곡(檜谷)마을은 마을 주위에 전나무가 많아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와정마을30 회

    와정(臥亭)마을은 마을 뒷재에 누워서 자라는 정자나무가 있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척금마을30 회

    척금(尺琴)마을은 전주이씨 집성촌으로, 마을 동쪽에는 역시 전주이씨 집성촌인 재궁마을이 있다. 척금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11세대 5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호암마을30 회

    호암(虎岩)마을은 범바우, 호암, 호계라고 불렀는데, 이는 뒷산이 호랑이이고, 산기슭에 호랑이 바우가 있어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금평마을30 회

    금평(金坪)마을은 벌담, 벌들, 금평이라 불리었는데, 벌담이란 바다에 뗏목을 띄워 놓은 형국의 피난처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금평이란 이름은 마을의 윗산을 쇠실메라 하는데,여기에서 금곡, 금평으로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 한다.

  • 원용담군 삼천 친목회 규약30 회

    -

  • 양촌마을30 회

    양촌(陽村)마을은 조림리 북쪽에 자리잡아 양지바른 곳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대곡마을 사람들30 회

    대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1세대 10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동촌마을 사람들30 회

    동촌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5세대 13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금당사 석탑 29 회

    금당사 경내에 있는 석탑으로,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 시장마을 사람들29 회

    시장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98세대 37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안자동마을 사람들29 회

    안자동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4세대 17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천황사 부도 29 회

    높이 213cm, 170cm 규모의 부도 2기로, 부도는 승려의 시신을 화장한 후 나오는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 안자동마을29 회

    안자동(顏子洞)마을은 본래 산수골이라 하여 안자천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 와정마을 사람들29 회

    와정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5세대 13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구곡마을29 회

    구곡(九谷)마을은 용담지역에 실(골짜기)자가 들어가는 9개의 마을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 이포마을29 회

    이포(伊浦)마을은 옛 지도에 마을 앞을 흐르는 금강을 이천(伊川)이라 하였는데, 마을 주변 내로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소여물통29 회

    -

  • 항동마을28 회

    항동(項洞)마을은 마을에 노란 소가 강을 건넌다는 황우도강(黃牛渡江)형의 명당이 있는데, 그 소의 목에 해당되는 곳에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하여 목 ‘항’자를 써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용평초등학교와 학생들28 회

    용평초등학교는 1946년 정천공립초등학교 분교로 신연(새벼루)마을에 세워졌다가 1951년 승격하였으며, 1958년 운암마을로 옮겨졌다.

  • 평은마을 사람들28 회

    평은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4세대 9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풍암마을28 회

    풍암(豊岩)마을은 뒷산에 바위가 많아 바람을 막아 준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외송마을 사람들28 회

    외송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6세대 13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원월계마을회관28 회

    원월계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87세대 257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금성 칼라 텔레비젼28 회

    "모델명CNR405K 생산년도 1981년"

  • 성남마을회관27 회

    황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5세대 86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운교마을27 회

    운교(雲橋)마을은 마을 뒤에 조그만 개울이 있어 그 곳에 바위를 놓아 다녔는데, 다리의 모양이 둥그런 구름모양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금당마을27 회

    금당마을에는 용담댐 건설 당시 40세대 116명이 살고 있었는데, 당시 마을에 살던 언건이댁 정순이 여사와 용담댁 강병례 여사는 시집올 때부터 친구사이였다고 한다.

  • 떡살27 회

    -

  • 상보마을 사람들27 회

    상보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64세대 21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신촌마을27 회

    신촌(新村)마을은 1880년경 진주 강씨가 안천과 용담에서 들어와 새로 이룬 마을이라 하여 샛담 또는 신촌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원월포마을 사람들27 회

    원월포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80세대 27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하가막마을27 회

    가막(加幕)마을은 첩첩산중 속에 장막이 겹겹이 드리워진 것과 같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하보마을27 회

    하보(下保)마을은 일제강점기 보한리를 상보, 중보, 하보마을 또는 상보, 하보 마을로 개편하면서 아래 있는 마을을 하보라 하였다고 한다.

  • 언건마을27 회

    언건(彦巾)마을은 마을의 뒷산이 사람의 목에 수건을 두른 듯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장등마을 사람들26 회

    장등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8세대 10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급여명세서스크랩북26 회

    1970년 ~ 2008년까지 38년 동안 공직생활을 하면서 받아온 월급에 대한 명세서를 스크랩하여 보관함.

  • 상보마을26 회

    상보(上保)마을은 일제강점기 보한리를 상보, 중보, 하보마을 또는 상보, 하보 마을로 개편하면서 위쪽에 자리잡은 마을을 상보라 하였다고 한다.

  • 놋그릇26 회

    -

  • 풍암마을 사람들26 회

    풍암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8세대 10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괴정마을26 회

    괴정(槐亭)마을은 마을에 오래된 정자나무 괴목이 있어 괴목정으로 부르다가 괴정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경대마을26 회

    경대(京垈)마을은 서울의 터와도 바꾸지 않는다는 자랑스럽고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재봉틀26 회

    -

  • 채반26 회

    -

  • 신정마을 사람들26 회

    신정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2세대 98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광석마을 사람들26 회

    광석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8세대 100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두곡마을26 회

    두곡(頭谷)마을은 옛 용담군 소재지에서 제일 가까워 고내미 고개만 넘으면 첫머리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시장마을26 회

    시장(市場)마을은 옛날에 거정들이라 하여 주막이 있어 길손이 쉬어 가는 곳이었다가 면소재지가 되면서 1950년대 버스정류소와 시장이 들어서고 번창하였다고 한다.

  • 기타 잡기류_노트(서류봉투입)26 회

    정시균 등본 및 토지대장 5부, 1987년대 우표 77장, 국제우편편지 9부, 일지 8장,용화예경 1권, 메모장 1권 , 기타문서 3장

  • 각종톱일괄25 회

    -

  • 광석마을25 회

    광석(廣石)마을은 마을의 동쪽에 길고 널다란 바위가 있어 겨울에 솔가지로 눈썰매를 탔는데, 그 바위로 인하여 마을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 장등마을25 회

    장등(長登)마을은 뒷산의 등성이가 안자동까지 길게 뻗어있다 하여 긴등 또는 진등이라 하였다가 장등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원갈현마을25 회

    갈현(葛峴)마을은 신작로가 없던 때 마을 뒷산과 소로길인 도룡고테재에 칡넝쿨이 많았던 까닭에 칡 ‘갈’자와 고개 ‘현’자를 써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대곡마을 입구25 회

    -

  • 불노티마을25 회

    불노티(不老峙)마을은 마을의 형국이 마치 스님이 태산준령(큰 산과 험한 고새)을 답사하고 있는 모습이며, 삼신산의 불로초처럼 늙지 않고 재산이 불어나고 삼정승 육판서가 나온다는 명당혈이 있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용담댐 완공기념리본25 회

    -

  • 갈두마을25 회

    갈두(葛頭)마을은 갈머리라고도 하는데, 명산인 운장산 줄기가 칡넝굴처럼 뻗어내려 온 터이기 때문에 이름 지었다고 한다.

  • 봉소마을25 회

    봉소(鳳巢)마을은 마을에 봉황 둥지의 명당터가 있고, 봉황새의 집이 있었다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외송마을25 회

    외송(外松)마을은 마을 주위와 산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용수24 회

    -

  • 우죽시집24 회

    -

  • 광주리24 회

    -

  • 다식 판24 회

    -

  • 양반 휴대품24 회

    -

  • 쇠다리미24 회

    -

  • 동의보감24 회

    -

  • 다리미24 회

    -

  • 먹줄24 회

    -

  • 용담댐 복원영상24 회

    -

  • 급여명세서스크랩북24 회

    1970년 ~ 2008년까지 38년 동안 공직생활을 하면서 받아온 월급에 대한 명세서를 스크랩하여 보관함.

  • 교동마을24 회

    교동(校洞)마을은 마을에 학교가 있어 이름 지어졌다고 하는데, 당시 마을에는 정천초등학교가 있었다.

  • 신전마을 사람들23 회

    신전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0세대 6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누에채반23 회

    -

  • 써래23 회

    -

  • 호학마을23 회

    호학(好學)마을은 마을 두류봉 골짜기와 다랭이에 서당이 있어 글공부를 하기 좋은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송림마을23 회

    송림(松林)마을은 소나무가 마을 전체에 울창하여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오동마을23 회

    오동(梧桐)마을은 나주 임씨가 마을 뒤에 묘를 쓰면서 봉학(봉황)이 오동나무에서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장음마을23 회

    장음(長陰)마을은 진그늘이라고도 하는데, 뒤산 성주봉이 높아 그늘이 길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신기마을23 회

    신기(葛頭)마을은 새터라고도 하는데, 새로 잡은 마을터라 하여 이름 지었다고 한다.

  • 불노티마을 사람들23 회

    불노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17세대 61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양반 휴대품23 회

    -

  • 워낭23 회

    -

  • 상거마을22 회

    상거(上渠)마을은 마을 앞을 흐르는 냇물이 옥과 같이 맑다하여 이름 지어진 옥거리의 위쪽에 자리 잡고 있어 상거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 둥구미22 회

    -

  • 놋그릇22 회

    -

  • 바디집22 회

    (8-1, 2, 3)과 (8-4, 5, 6)이 각각 짝을 이룬다. (8-3)과 (8-6)은 대나무로 만들어졌다.

  • 옹기 식초병22 회

    -

  • 중기마을 사람들22 회

    중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4세대 12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대야22 회

    -

  • 목등잔대22 회

    -

  • 운교마을회관22 회

    운교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84세대 315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감깍기22 회

    -

  • 상거마을회관22 회

    상거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57세대 162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베솔22 회

    -

  • 길마22 회

    -

  • 계란바구니22 회

    -

  • 동종22 회

    -

  • 누에채반22 회

    -

  • 주걱22 회

    -

  • 옛날 동전22 회

    -

  • 채반22 회

    -

  • LP판21 회

    -

  • 제사상21 회

    -

  • 삼태기21 회

    -

  • 대성학회규칙초안21 회

    -

  • 음촌마을21 회

    음촌(陰村)마을은 740m의 옥녀봉 줄기로 인하여 마을에 그늘이 진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지게21 회

    -

  • 농산마을21 회

    농산(農山)마을은 광활한 농지가 많은 곳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옹기 항아리21 회

    -

  • 호적단자(양덕주)21 회

    -

  • 용평초등학교와 학생들21 회

    용평초등학교는 1946년 정천공립초등학교 분교로 신연(새벼루)마을에 세워졌다가 1951년 승격하였으며, 1958년 운암마을로 옮겨졌다.

  • 요강21 회

    백자요강으로 중앙에 모란꽃 그림이 있다.

  • 철제 가위21 회

    -

  • 대구평마을 사람들21 회

    대구평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42세대 154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신정마을21 회

    신정(新亭)마을에는 한 선비가 정자를 짓고 글공부를 하여 급제 후 돌아와 마을 이름을 지어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스테인리스 그릇21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보부상 셈기구21 회

    -

  • 쳇다리21 회

    -

  • 장기판과 장기알21 회

    -

  • 대산마을 입구 21 회

    -

  • 원와룡마을21 회

    원와룡(元臥龍)마을은 호미동이라고도 불렸는데, 마을의 서남간에 까끔날이 용이 누워 있는 모양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옹기 항아리21 회

    -

  • 원주평마을21 회

    원주평(元珠坪)마을은 산줄기 한자락이 마을 뒤로 구슬과 같이 동그랗게 감싸고 있고, 마을 앞으로는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어 구슬 ‘주’자와 들 ‘평’자를 써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약장21 회

    -

  • 촛대21 회

    -

  • 스테인리스 그릇21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대성학회규칙초안21 회

    -

  • 광주리21 회

    -

  • 우체통20 회

    -

  • 누에채반20 회

    -

  • 떡살과 다식판20 회

    -

  • 장군20 회

    -

  • 채반20 회

    -

  • 신전마을20 회

    신전(薪田)마을은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동산은 누에이며, 마을의 터는 누에가 올라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한 물건 즉 섶이라고 하여 섶밭말이라 불려오다가 신전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장군20 회

    -

  • 물레20 회

    -

  • 옹기 항아리20 회

    -

  • 벌통20 회

    -

  • 금당마을20 회

    금당(錦堂)마을은 마을 앞에 금강이 흐르고, 마을 들어오는 곳에 못이 있어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삼태기20 회

    -

  • 떡살20 회

    -

  • 통신표와 성적표19 회

    -

  • 풍로19 회

    -

  • 채반19 회

    -

  • 채반19 회

    -

  • 누에채반19 회

    -

  • 채반19 회

    -

  • 떡살19 회

    -

  • 삼태기19 회

    -

  • 원주평마을 사람들19 회

    원주평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26세대 9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채반19 회

    -

  • 선풍기19 회

    -

  • 망태기19 회

    -

  • 양지마을19 회

    양지(陽地)마을은 마을을 병풍으로 두른 듯 장구혈의 동산이 북풍을 막아주고 있으며, 남쪽을 향해 자리 잡은 마을에 하루종일 따스한 햇볕이 비춰진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19 회

    -

  • 자배기19 회

    -

  • 19 회

    측면에 음각으로 '곡용1 리터' 글씨가 있음.

  • 스테인리스 그릇19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누에채반19 회

    직사각형 안에 얇게 켠 대나무를 격자무늬로 끼웠다.

  • 남포18 회

    -

  • 다리미와 인두18 회

    -

  • 김택열선생 회갑연 영상자료18 회

    1993년 3월 6일 정천면 갈용리 교동마을의 김택열 선생의 회갑영 영상자료이다.

  • 벌멍덕18 회

    -

  • 물레18 회

    -

  • 빗살무늬 토기218 회

    -

  • 채반18 회

    -

  • 원월포마을18 회

    원월포(元月浦)마을은 마을을 둘러싼 갯밭들이 달의 모양과 같고, 금강물이 포구와 같다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바디18 회

    -

  • 용도미상18 회

    각목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짜고 사방에 철심을 박았다.

  • 벌멍덕18 회

    -

  • 베솔18 회

    -

  • 도투마리18 회

    -

  • 백자 요강18 회

    -

  • 경서통18 회

    -

  • 메주틀18 회

    -

  • 대곡마을18 회

    대곡(大谷)마을은 서쪽에 자리한 큰골안골이란 골짜기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 교동마을 영상기록물18 회

    1998년 정천면 갈용리 교동마을 영상기록물이다.

  • 소쿠리18 회

    (6-1)은 항아리, (6-2)는 젓독, (6-3)은 술독, (6-4~6)은 물동이다.

  • 동전18 회

    -

  • 청자 병18 회

    -

  • 좀도리18 회

    "초병으로 경부에 음각으로 '초병', 몸체에 노란색 페인트로 '좀도리'라고 쓰여 있다. "

  • 가마18 회

    -

  • 부항마을 웃뜸18 회

    상전면 용평리 부항마을은 오리목이라고도 불리는데, 이 마을은 웃뜸과 아랫뜸으로 이루어져 있다.

  • 옹기 물동이17 회

    -

  • 소죽바가지17 회

    -

  • 홀태17 회

    -

  • 매도증서17 회

    -

  • 풀무늬 병17 회

    -

  • 삼태기17 회

    -

  • 똥바가지17 회

    -

  • 나무오리17 회

    나무로 만든 오리로 푸른색이 칠해져 있다.

  • 괭이17 회

    -

  • 바디17 회

    -

  • 멍에17 회

    -

  • 시루17 회

    운두 아랫부분을 'ㅍ'모양으로 철사로 고정했다. 외면에 물결무늬가 있으며 바닥에 5개의 구멍이 있다.

  • 수복무늬 자수병풍17 회

    -

  • 부항마을 사람들17 회

    부항마을에는 용담댐 건설 당시 54세대 187명이 살고 있었다.

  • 벌멍덕17 회

    -

  • 옹기 항아리17 회

    -

  • 초병17 회

    -

  • 다리미17 회

    -

  • 누에채반17 회

    -

  • 놋쇠 주걱17 회

    -

  • 내송마을17 회

    내송(內松)마을은 마을 일대가 소나무가 울창한 곳으로, 소나무 숲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물지게와 작대기17 회

    물지게(2-1)와 작대기(2-2)이다. 지게에 긴 작대기를 가로로 걸고 좌우 양쪽에 쇠갈고리가 달려있다. 작대기가 부러져 한쪽 갈고리만 남아 있다. (2-2)는 긴'Y'모양으로 지게를 지지할 수 있다.

  • 삼태기17 회

    -

  • 17 회

    -

  • 용담댐의 진실을 알리고자 하는 문서17 회

    -

  • 누에채반17 회

    직사각형 안에 얇게 켠 대나무를 격자무늬로 끼웠다.

  • 빗살무늬 토기17 회

    -

  • 채반17 회

    -

  • 옻칠함17 회

    -

  • 세동마을 사람들17 회

    세동마을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32세대 109명이 이주하게 되었다.

  • 옹기 손잡이 단지17 회

    -

  • 사기그릇17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도투마리17 회

    -

  • 둥구미17 회

    -

  • 대구평마을16 회

    대구평(大邱坪)마을은 마을의 북쪽에서 볼 때 거북이가 너른 들과 금강으로 향해 기어가는 형국이라 거북 ‘구(龜)’자를 써서 대구평이라 이름 지어졌다가 일제강점기에 언덕 ‘구’자로 바꾸었다고 한다.

  • 박바가지16 회

    -

  • 방망이16 회

    (2-1)은 두드리는 부분이 닳아있다. (2-2)는 걸 수 있도록 초록색 끈이 달려있다.

  • 바구니16 회

    -

  • 사기그릇16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누에채반16 회

    직사각형 안에 얇게 켠 대나무를 격자무늬로 끼웠다.

  • 발채16 회

    -

  • 옹기 손잡이 단지16 회

    -

  • 전화기16 회

    -

  • 장기판과 장기알16 회

    -

  • 옹기 병16 회

    구연이 결손되었다.

  • 베솔16 회

    -

  • 바리깡16 회

    왼쪽 손잡이가 떨어져 접착한 흔적이 있으나 떨어져 있음.

  • 정천면 망향동산16 회

    -

  • 바구니16 회

    -

  • 고무래16 회

    자루와 머리부분 연결이 헐겁다.

  • 대방마을 방앗간집16 회

    대방마을 방앗간집

  • 항아리16 회

    -

  • 청동 거울16 회

    -

  • 용도미상16 회

    각목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짜고 사방에 철심을 박았다.

  • 쳇다리16 회

    -

  • 채반16 회

    -

  • 벌멍덕16 회

    -

  • 전화기16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6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고무 두레박16 회

    줄을 길게 달아 우물물을 퍼 올리는 기구. 고무재질 동이 위에 철로 테를 두름.

  • 누에채반16 회

    직사각형 안에 얇게 켠 대나무를 격자무늬로 끼웠다.

  • 청동 허리띠16 회

    -

  • 백자 그릇16 회

    백자 제기로 보이며 주발과 대접이다.

  • 물레16 회

    -

  • 옹기 항아리16 회

    -

  • 붉은간토기16 회

    -

  • 세동마을16 회

    세동(細洞)마을은 마을 남쪽에 있는 검넌산 깍음골의 가느다란 골짜기 냇물이 흐르는 마을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약초괭이16 회

    -

  • 사기그릇16 회

    -

  • 손잡이 달린 항아리16 회

    -

  • 멱둥구미16 회

    -

  • 가훈 액자215 회

    -

  • 미장삽15 회

    -

  • 도투마리15 회

    -

  • 고무래15 회

    -

  • 옹기 병15 회

    구연부 일부가 결실되었다.

  • 좀도리15 회

    "초병으로 경부에 음각으로 '초병', 몸체에 노란색 페인트로 '좀도리'라고 쓰여 있다. "

  • 월포 보건 진료소 간판15 회

    -

  • 고드레돌15 회

    마목틀에서 사용하는 고드래이다. (2-1, 2, 3, 4)는 새끼줄이 (2-5)는 나일론 끈이 감겨 있다.

  • 이남박15 회

    -

  • 「불조심」백자등잔15 회

    호롱, 외면에 사선으로 '불조심' 글자가 있음.

  • 홀태15 회

    -

  • 모란 넝쿨무늬 대접115 회

    -

  • 괭이15 회

    -

  • 일남면 농산리 호적본15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5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중기마을15 회

    중기(中基)마을은 옛 상도면과 탄전면 두 면의 경계지역에 터를 둔 마을로, 상전면으로 통합되어서도 면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이었기에 중터 또는 중기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 백자 그릇15 회

    "13-1, 2는 민무늬이며, 다른 기물보다 무겁고 굽바닥에 '加幸'시문됨.13-3, 4, 5, 6, 8, 9, 10은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으며 그 아래 가로선이 1줄 둘러져 있음. 13-7, 11은 구연에 석류모양의 풀꽃무늬가 둘러져 있음. 13-12는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13-6,10,12는 바닥면에 '日硬도자기', 13-8 바닥면에'韓硬'이 시문됨. "

  • 15 회

    -

  • 간돌검15 회

    -

  • 옹기 항아리15 회

    -

  • 누에채반15 회

    직사각형 안에 얇게 켠 대나무를 격자무늬로 끼웠다.

  • 손잡이 항아리15 회

    -

  • 민무늬 토기15 회

    -

  • 베틀부속15 회

    -

  • 가마니 바디15 회

    -

  • 새덫15 회

    -

  • 가방15 회

    -

  • 밥바구니15 회

    -

  • 작두15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5 회

    -

  • 채반15 회

    -

  • 알동아리15 회

    -

  • 15 회

    -

  • 항아리15 회

    (4-1)은 시루, (4-2)는 자배기로 손잡이 한쪽이 결손되었다. (4-3)은 손잡이 단지, (4-4)는 귀때동이로 주구가 달려 있다.

  • 자귀15 회

    -

  • 동고리14 회

    -

  • 14 회

    -

  • 놋숟가락14 회

    -

  • 제사상14 회

    -

  • 광주리14 회

    -

  • 백자 그릇14 회

    "13-1, 2는 민무늬이며, 다른 기물보다 무겁고 굽바닥에 '加幸'시문됨.13-3, 4, 5, 6, 8, 9, 10은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으며 그 아래 가로선이 1줄 둘러져 있음. 13-7, 11은 구연에 석류모양의 풀꽃무늬가 둘러져 있음. 13-12는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13-6,10,12는 바닥면에 '日硬도자기', 13-8 바닥면에'韓硬'이 시문됨. "

  • 홀태14 회

    -

  • 절구공이14 회

    -

  • 홀태14 회

    -

  • 14 회

    -

  • 뒤주14 회

    -

  • 절구14 회

    -

  • 가마솥14 회

    -

  • 한국-광복이후14 회

    바닥에 '十'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3-1)은 상표와 '영진 3.0MM', (3-2)는 '0', (3-3)은 '2.0MM SHIN HUNG 특제'가 있다.

  • 녹유 그릇14 회

    "6-1은 구연에 가로선이 한 줄 둘러져 있으며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음. 6-2, 3은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6-4는 접시면에 풀꽃무늬가 그려져 있음. 6-5, 6은 접시면에 양각으로 포도무늬가 있음. "

  • 종지 그릇14 회

    "일본식 종지그릇. 내외면에는 격자무늬가 그려져 있음. 그릇 안쪽 바닥에 福(3-1), 囍(3-2, 3)무늬가 있음. "

  • 모란 넝쿨무늬 대접214 회

    -

  • 덧가리14 회

    -

  • 바구니14 회

    -

  • 절구공이14 회

    -

  • 벌멍덕14 회

    -

  • 옹기14 회

    구연이 결손되었다.

  • 제초기14 회

    -

  • 호미14 회

    -

  • 바구니와 채반14 회

    -

  • 갈유자기 그릇14 회

    구연부는 흰색이며, 외면 아랫부분은 양각으로 3단을 이루고 있다. (2-1)은 구연일부가 결실되었다. 굽바닥에는 'FASHION WARE STONEWORE 행남사'와 무궁화와 월계관무늬아래 1942 라고 적힌 로고가 있다.

  • 백자 그릇14 회

    백자 보시기(5-1, 2)와 접시(5-3, 4, 5)이다. (5-1)은 기벽에 음각으로 무궁화 무늬가 띠처럼 둘러져 있으며 굽바닥에 글씨와 도장무늬로 '三韓'이 써져 있다. (5-2)는 꽃잎처럼 내부에 음각선이 있고 구연이 물결무늬이다. 그릇 중앙에 붉은색 안료로 꽃술이 그려져 있다. (5-3)은 내면에 갈색으로 새우 그림이 그려져 있고 16각으로 각이진 구연에는 푸른색 안료가 칠해져 있다. (5-4)는 구연이 물결모양이며 외면에 세로로 음각선이 돌려져C

  • 14 회

    -

  • 백자그릇14 회

    -

  • 돌칼14 회

    -

  • 14 회

    -

  • 가훈 액자14 회

    -

  • 옹기병14 회

    -

  • 절구공이14 회

    -

  • 14 회

    -

  • 종지 그릇14 회

    "일본식 종지그릇. 내외면에는 격자무늬가 그려져 있음. 그릇 안쪽 바닥에 福(3-1), 囍(3-2, 3)무늬가 있음. "

  • 채반14 회

    -

  • 항아리14 회

    (4-1)은 시루, (4-2)는 자배기로 손잡이 한쪽이 결손되었다. (4-3)은 손잡이 단지, (4-4)는 귀때동이로 주구가 달려 있다.

  • 표주박14 회

    (3-1, 2)는 박, (3-3)은 통나무를 손잡이가 달린 바가지 모양으로 파서 제작.

  • 옹기 병14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4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금성라디오14 회

    -

  • 꼬챙이14 회

    -

  • 교자상14 회

    -

  • 삼태기14 회

    -

  • 붉은간토기14 회

    -

  • 도시락14 회

    -

  • 주스 자동 판매기14 회

    -

  • 절구14 회

    -

  • 제초기13 회

    -

  • 백자종지13 회

    -

  • 백자 그릇13 회

    "구연에 번개무늬가 있으며 외면 중앙에 가로선이 그려져 있다. 굽바닥에 도자기 매화꽃을 연상하는 한국도자기 초기 상표가 있다. "

  • 다듬이 방망이13 회

    -

  • 갈유자기 그릇13 회

    구연부는 흰색이며, 외면 아랫부분은 양각으로 3단을 이루고 있다. (2-1)은 구연일부가 결실되었다. 굽바닥에는 'FASHION WARE STONEWORE 행남사'와 무궁화와 월계관무늬아래 1942 라고 적힌 로고가 있다.

  • 베솔13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3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명이나 호수가 찍혀 있다. (9-1)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2)는 마름모 안에 '?(?)' 과 '1.5', (9-4, 5, 6)은 '1.5', (9-7, 8)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9)는 '1.'이 있다.

  • 시루13 회

    손잡이가 달린 시루이다. 구연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외면에 균열이 있다. 철사를외면에 둘렀다. 바닥에는 구멍 5개가 있다.

  • 옹기 손잡이 항아리13 회

    손잡이 한쪽이 결손되었다.

  • 바디13 회

    -

  • 복조리13 회

    -

  • 절구13 회

    -

  • 가마니바디13 회

    -

  • 가위13 회

    (2-2)는 2개로 분리되어 있다.

  • 스테인리스 그릇13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명이나 호수가 찍혀 있다. (9-1)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2)는 마름모 안에 '?(?)' 과 '1.5', (9-4, 5, 6)은 '1.5', (9-7, 8)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9)는 '1.'이 있다.

  • 돌도끼13 회

    -

  • 삼태기13 회

    -

  • 새갓통13 회

    토수부가 달린 바가지 형태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다.

  • 백자 그릇13 회

    "밥그릇(4-1, 2)과 대접(4-3, 4)이다. (4-1, 2, 4)는 내면 바닥에 '囍', (4-4)는 풀꽃무늬 안에 '囍' 무늬가 있다. "

  • 약탕기13 회

    "11-7~11은 백자대접으로 안쪽 바닥에 囍(3-2, 3)무늬가 있음. "

  • 옹기 자배기13 회

    옹기 바닥 일부가 결손되었다. 철사로 몸통을'ㅍ'자로 고정했다.

  • 수복무늬 백자그릇13 회

    -

  • 문패13 회

    -

  • 설강이13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3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13-1)은 '영진 3.0MM', (3-2)는 원안에 '3.0 m/m ○鉦 '과 음각으로 '장노 안수기념'이 찍혀져있고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다. (13-3)은 '동일', (13-4)는 선각으로 해뜨는 모양과 '2.0', (13-12)는 '특 2.0'이 있다. (13-2, 4,)는 외면에 무궁화꽃 무늬가 있다.

  • 홀태13 회

    베어낸 곡식의 낱알을 훑는 기구이다.

  • 임명장13 회

    -

  • 백자 그릇13 회

    (3-1)은 외면에 모란꽃무늬가 얇게 양각되었고 굽바닥에 검은안료로 '富琳', 빨간 안료로 '大化'가 있다. (3-2)는 구연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굽바닥에 파란안료로'東幹', 빨간안료로 '東幹窯'가 있다. (3-3)은 외면에 꽃봉우리 모양이 양각으로 표현되었고 바닥부터 중앙까지 금이 가있다. 굽바닥에 파란색으로 'SUN DO CHINA OVEN TO TABLE DISH WASHER SAFE'와 상표무늬가 있다.

  • 사기그릇13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백자 그릇13 회

    "밥그릇(4-1, 2)과 대접(4-3, 4)이다. (4-1, 2, 4)는 내면 바닥에 '囍', (4-4)는 풀꽃무늬 안에 '囍' 무늬가 있다. "

  • 요강13 회

    -

  • 옹기 젓독13 회

    -

  • 백자 그릇13 회

    "구연에 번개무늬가 있으며 외면 중앙에 가로선이 그려져 있다. (6-4)와 (6-6)은 굽바닥에 파란 도료가 묻어 있다. "

  • 백자 그릇13 회

    "13-1, 2는 민무늬이며, 다른 기물보다 무겁고 굽바닥에 '加幸'시문됨.13-3, 4, 5, 6, 8, 9, 10은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으며 그 아래 가로선이 1줄 둘러져 있음. 13-7, 11은 구연에 석류모양의 풀꽃무늬가 둘러져 있음. 13-12는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13-6,10,12는 바닥면에 '日硬도자기', 13-8 바닥면에'韓硬'이 시문됨. "

  • 저울과 추13 회

    -

  • 가위13 회

    -

  • 바구니13 회

    -

  • 벼루와 먹13 회

    -

  • 박바가지13 회

    -

  • 썰매13 회

    -

  • 홀태13 회

    베어낸 곡식의 낱알을 훑는 기구이다.

  • 백자 그릇13 회

    "13-1, 2는 민무늬이며, 다른 기물보다 무겁고 굽바닥에 '加幸'시문됨.13-3, 4, 5, 6, 8, 9, 10은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으며 그 아래 가로선이 1줄 둘러져 있음. 13-7, 11은 구연에 석류모양의 풀꽃무늬가 둘러져 있음. 13-12는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13-6,10,12는 바닥면에 '日硬도자기', 13-8 바닥면에'韓硬'이 시문됨. "

  • 고리13 회

    -

  • 도투마리13 회

    -

  • 바구니13 회

    -

  • 삼태기13 회

    -

  • 다람쥐사육장13 회

    -

  • 백자 그릇13 회

    "구연에 번개무늬가 있으며 외면 중앙에 가로선이 그려져 있다. 굽바닥에 도자기 매화꽃을 연상하는 한국도자기 초기 상표가 있다. "

  • 스테인리스 그릇13 회

    -

  • 13 회

    -

  • 백자 그릇13 회

    "13-1, 2는 민무늬이며, 다른 기물보다 무겁고 굽바닥에 '加幸'시문됨.13-3, 4, 5, 6, 8, 9, 10은 3면에 각각 '壽', '福', '祿'무늬가 있으며 그 아래 가로선이 1줄 둘러져 있음. 13-7, 11은 구연에 석류모양의 풀꽃무늬가 둘러져 있음. 13-12는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음. 13-6,10,12는 바닥면에 '日硬도자기', 13-8 바닥면에'韓硬'이 시문됨. "

  • 약탕기12 회

    -

  • 저울12 회

    -

  • 백자 그릇12 회

    -

  • 연꽃 넝쿨무늬 완212 회

    -

  • 도투마리12 회

    -

  • 절구12 회

    -

  • 약탕기12 회

    -

  • 찻잔받침12 회

    흰색의 찻잔받침이다. 굽바닥에 갈색으로 'FASHION WARE, 田, 'White China, 한전자기'가 써져 있다.

  • 용두머리12 회

    -

  • 바구니12 회

    -

  • 바구니12 회

    -

  • 쳇다리12 회

    -

  • 백자요강12 회

    -

  • 백자 접시12 회

    백자접시로 내면에 구연이 비스듬하게 올라가고 14각으로 되어있다. 안쪽 바닥에 새우 그림이 있다.

  • 소죽뒤집개12 회

    -

  • 사기그릇12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스테인리스 그릇12 회

    바닥에 '十'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 스테인리스 그릇12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명이나 호수가 찍혀 있다. (9-1)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2)는 마름모 안에 '?(?)' 과 '1.5', (9-4, 5, 6)은 '1.5', (9-7, 8)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9)는 '1.'이 있다.

  • 절구12 회

    -

  • 두고 온 고향 산천12 회

    용담댐 수몰 전 사진첩

  • 옹기연가12 회

    -

  • 용담댐 수몰민의 건의사항12 회

    -

  • 시루12 회

    손잡이가 달린 시루이다. 구연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외면에 균열이 있다. 철사를외면에 둘렀다. 바닥에는 구멍 5개가 있다.

  • 바구니12 회

    -

  • 가위12 회

    -

  • 채반12 회

    -

  • 맷돌12 회

    -

  • 물지게12 회

    -

  • 수복무늬 백자 그릇12 회

    외면의 3면에 각각 '壽', '福', '綠'무늬가 있으며 위 아래 가로줄 무늬가 둘러져 있다. 굽바닥에는 동그라미 안에 '한도'가 써져있고 그 둘레에 '납세필ㆍ남부산세무서ㆍ'가 세겨져 있다.

  • 사기그릇12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자귀12 회

    -

  • 제초기날12 회

    -

  • 사자소학12 회

    -

  • 가마니 바디12 회

    -

  • 빨래방망이12 회

    -

  • 바구니12 회

    -

  • 한국-광복이후12 회

    바닥에 '十'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3-1)은 상표와 '영진 3.0MM', (3-2)는 '0', (3-3)은 '2.0MM SHIN HUNG 특제'가 있다.

  • 벼루12 회

    -

  • 절구12 회

    -

  • 사기그릇12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도투마리12 회

    -

  • 제초기12 회

    -

  • 12 회

    -

  • 씨앗통12 회

    -

  • 나무 제기12 회

    제례에 사용되는 목제 접시와 합이다. 흑칠이 되어 있다.

  • 바구니12 회

    -

  • 가마니바디12 회

    -

  • 절구12 회

    -

  • 작명 기록철12 회

    -

  • 가훈 액자312 회

    -

  • 다리미12 회

    (5-1~3)은 나무자루가 달린 철다리미이다. (5-4, 5)는 자루가 없이 머리 부분만 남아 있다. (5-4)는 이관 당시 다리미로 분류되어 있지만 후라이팬으로 보인다.

  • 백자그릇12 회

    -

  • 삼칼12 회

    -

  • 제초기12 회

    -

  • 방망이12 회

    -

  • 제승기12 회

    새끼줄을 꼬는 기계이다.

  • 제초기12 회

    -

  • 둥구미12 회

    -

  • 제초기12 회

    -

  • 가마니바디12 회

    -

  • 가훈 액자412 회

    -

  • 써리괭이12 회

    -

  • 국화무늬 주자12 회

    -

  • 둥구미11 회

    -

  • 쳇다리11 회

    -

  • 11 회

    -

  • 사기 그릇11 회

    "일본식 종지그릇. 내외면에는 격자무늬가 그려져 있음. 안쪽 바닥에 福(3-1), 囍(3-2, 3)무늬가 있음. "

  • 물레11 회

    -

  • 백자종지11 회

    -

  • 광주리11 회

    -

  • 녹유 접시11 회

    녹색유약을 입힌 접시로 내면에 모란꽃무늬(3-1), 양가으로 날개를 펼친 새무늬(3-2), 새우그림(3-3)이 있다. (3-3)은 외면이 비스듬이 올라오며 각이져 있다.

  • 시루11 회

    운두 아랫부분을 'ㅍ'모양으로 철사로 고정했다. 외면에 물결무늬가 있으며 바닥에 5개의 구멍이 있다.

  • 도투마리11 회

    -

  • 쇠스랑11 회

    흙을 고르는데 사용한 연장이다.

  • 사기그릇11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저울11 회

    -

  • 가락11 회

    -

  • 작두11 회

    -

  • 홀태11 회

    -

  • 도투마리11 회

    -

  • 백자접시11 회

    -

  • 수복무늬 백자그릇11 회

    -

  • 용담댐 예정지 고시 문서11 회

    -

  • 단지11 회

    -

  • 둥구미11 회

    -

  • 목제 찬합11 회

    -

  • 스테인리스 그릇11 회

    바닥에 '?'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명이나 호수가 찍혀 있다. (9-1)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2)는 마름모 안에 '?(?)' 과 '1.5', (9-4, 5, 6)은 '1.5', (9-7, 8)은 육각형 안에 '白金'과 '1.5(?)', (9-9)는 '1.'이 있다.

  • 사주단자11 회

    -

  • 쇠스랑11 회

    흙덩이를 부수거나 고르는데 사용한 연장이다.

  • 돗자리 바디11 회

    -

  • 사기그릇11 회

    "(17-1) 바닥에 사슴무늬, (17-2)에 '誠', (17-3)에 '勝', (17-4, 5)에 '한도', (17-13)에 '日硬' 글씨 있음. (17-4, 5, 9, 10) 외면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壽', '福', '祿' 무늬가 있음. (17-11)내면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홀태11 회

    -

  • 사기 그릇11 회

    (7-7)굽은 부분적으로 결실 있음.

  • 제초기11 회

    -

  • 설강이11 회

    -

  • 바디11 회

    -

  • 광주리11 회

    -

  • 도투마리11 회

    -

  • 들곳11 회

    -

  • 옹기 젓독11 회

    -

  • 또아리11 회

    -

  • 호미11 회

    -

  • 바디집11 회

    -

  • 절구11 회

    -

  • 소쿠리11 회

    -

  • 각처묘적계11 회

    -

  • 홀태11 회

    -

  • 11 회

    -

  • 방망이11 회

    -

  • 삼지창11 회

    -

  • 가마솥11 회

    -

  • 사기 그릇11 회

    "일본식 종지그릇. 내외면에는 격자무늬가 그려져 있음. 안쪽 바닥에 福(3-1), 囍(3-2, 3)무늬가 있음. "

  • 찻잔받침11 회

    흰색의 찻잔받침이다. 굽바닥에 갈색으로 'FASHION WARE, 田, 'White China, 한전자기'가 써져 있다.

  • 보습11 회

    -

  • 부티10 회

    -

  • 제초기10 회

    -

  • 양은 그릇10 회

    -

  • 제초기10 회

    -

  • 백자 접시10 회

    "백자접시로 내면에 매화꽃 그림(4-1), 풀꽃 그림(4-2, 3)이 있다. (4-3)은 외면에 내화토가 묻어 있다."

  • 삼칼10 회

    -

  • 도끼날10 회

    -

  • 용담댐 공사 지도10 회

    -

  • 주걱10 회

    -

  • 나무쟁반10 회

    -

  • 삼칼10 회

    -

  • 베솔10 회

    베매기 과정에서 날실에 풀이 골고루 묻게 문지르는 솔.

  • 물레10 회

    -

  • 도투마리10 회

    -

  • 약탕기10 회

    -

  • 종지10 회

    -

  • 소굴레10 회

    -

  • 절구10 회

    -

  • 제목 JIN000586-0010 회

    -

  • 찻잔 받침10 회

    찻잔받침으로 내면에 꽃나무가 그려져 있으며 굽바닥에는 'KOREA CHINA 天日社'가 있다.

  • 백자 그릇10 회

    백자 보시기(5-1, 2)와 접시(5-3, 4, 5)이다. (5-1)은 기벽에 음각으로 무궁화 무늬가 띠처럼 둘러져 있으며 굽바닥에 글씨와 도장무늬로 '三韓'이 써져 있다. (5-2)는 꽃잎처럼 내부에 음각선이 있고 구연이 물결무늬이다. 그릇 중앙에 붉은색 안료로 꽃술이 그려져 있다. (5-3)은 내면에 갈색으로 새우 그림이 그려져 있고 16각으로 각이진 구연에는 푸른색 안료가 칠해져 있다. (5-4)는 구연이 물결모양이며 외면에 세로로 음각선이 돌려져C

  • 홀태10 회

    -

  • 복무늬 종지10 회

    -

  • 삼칼10 회

    -

  • 홀태10 회

    -

  • 백자 그릇10 회

    (3-1)은 외면에 모란꽃무늬가 얇게 양각되었고 굽바닥에 검은안료로 '富琳', 빨간 안료로 '大化'가 있다. (3-2)는 구연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굽바닥에 파란안료로'東幹', 빨간안료로 '東幹窯'가 있다. (3-3)은 외면에 꽃봉우리 모양이 양각으로 표현되었고 바닥부터 중앙까지 금이 가있다. 굽바닥에 파란색으로 'SUN DO CHINA OVEN TO TABLE DISH WASHER SAFE'와 상표무늬가 있다.

  • 간돌화살촉10 회

    -

  • 멍에10 회

    -

  • 바구니10 회

    -

  • 격자문10 회

    -

  • 바디집10 회

    -

  • 옹기병10 회

    -

  • 소죽뒤집개10 회

    -

  • 주걱10 회

    -

  • 가마니 바디10 회

    -

  • 광주리10 회

    -

  • 화로와 삼발이10 회

    -

  • 간장단지10 회

    -

  • 고무래10 회

    -

  • 양은 그릇10 회

    -

  • 광주리10 회

    -

  • 이남박10 회

    -

  • 바디집10 회

    -

  • 가락10 회

    -

  • 홀태10 회

    베어낸 곡식의 낱알을 훑는 기구이다.

  • 단지10 회

    -

  • 고무래10 회

    -

  • 절구공이10 회

    -

  • 종지10 회

    -

  • 사기그릇10 회

    -

  • 설강이10 회

    -

  • 교자상10 회

    -

  • 광주리10 회

    바구니(2-1)에 조각천으로 만든 바늘집(2-2)이 달려있다. 바늘집안에는 머리카락이 들어있고 바늘이 꽂혀있다.

  • 전화기10 회

    -

  • 양은 그릇10 회

    -

  • 복조리10 회

    -

  • 용담댐 공사전지도10 회

    -

  • 바구니10 회

    -

  • 백자 그릇10 회

    "밥그릇(7-1, 2, 3, 4)과 대접(7-5, 6, 7)이다. 외면을 세부분으로 나누어 각각'壽', '福', '福' 무늬가 있다. 무늬 위 아래로 한줄 가로선이 그려져 있다. "

  • 급훈10 회

    -

  • 수복무늬 백자 그릇10 회

    무광이며 외면의 3면에 도식화된 '壽福'무늬가 있다. 수복무늬 위아래로 한줄 가로선이 있다.

  • 연꽃 넝쿨무늬 완110 회

    -

  • 나무 통망치10 회

    인삼을 재배할 때 지주목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나무 망치이다.

  • 자물쇠9 회

    -

  • 지게9 회

    -

  • 또아리9 회

    짚으로 만든 또아리이다. 겉부분을 천으로 감쌌다.

  • 탕개톱9 회

    -

  • 제초기9 회

    -

  • 백자 접시9 회

    백자접시로 내면에 구연이 비스듬하게 올라가고 14각으로 되어있다. 안쪽 바닥에 새우 그림이 있다.

  • 공작새무늬 녹유접시9 회

    -

  • 안천중학교, 고등학교 졸업앨범9 회

    -

  • 쟁기9 회

    -

  • 다리미9 회

    -

  • 가락9 회

    -

  • 쇠스랑9 회

    -

  • 지게와 작대기9 회

    -

  • 물컵9 회

    -

  • 국민교육현장9 회

    -

  • 9 회

    -

  • 길마9 회

    -

  • 뚜껑9 회

    -

  • 제초기9 회

    -

  • 소죽뒤집개9 회

    -

  • 절구공이9 회

    -

  • 워낭9 회

    -

  • 격자문9 회

    -

  • 소멍에9 회

    -

  • 가마니 바디9 회

    -

  • 절구9 회

    -

  • 곡괭이9 회

    -

  • 흑유병9 회

    -

  • 수복무늬 백자 그릇9 회

    외면의 3면에 각각 '壽', '福', '綠'무늬가 있으며 위 아래 가로줄 무늬가 둘러져있다. (2-1)의 구연부와 굽부분 일부, (2-2)는 굽부분이 결실되었다. (2-1)의 굽바닥에는 '한도'가 전사되어 있다.

  • 바디9 회

    -

  • 백자 그릇9 회

    백자접시로 내면에 꽃그림이 있으며 구연에 전사된 은색꽃무늬가 있다. 굽바닥에는 월계수잎 무늬 안에 'CHUNG NAM CHINA'가 있다.

  • 홀태9 회

    -

  • 말코9 회

    -

  • 대형주판9 회

    -

  • 복무늬 종지9 회

    내저에 꽃무늬가 둘러진 '福'무늬가 있다.

  • 개인 편지9 회

    -

  • 저울9 회

    -

  • 다듬이돌9 회

    -

  • 작두9 회

    -

  • 쟁기9 회

    -

  • 망태기9 회

    -

  • 홍두깨9 회

    -

  • 작두9 회

    -

  • 나무주걱9 회

    -

  • 멍에9 회

    -

  • 옹기 항아리9 회

    -

  • 가락9 회

    -

  • 소멍에9 회

    -

  • 백자접시9 회

    -

  • 종지9 회

    -

  • 산림 소유권 증명 신청서9 회

    -

  • 백자 그릇9 회

    (4-1) 내면바닥에 '囍'무늬와 그 둘레에 번개무늬가 있다. (4-2~4)는 내면 바닥에 '囍' 무늬가 있다.

  • 홀태9 회

    -

  • 가마니 바디8 회

    -

  • 용수8 회

    -

  • 종지8 회

    -

  • 가락8 회

    -

  • 종지8 회

    -

  • 「불조심」백자등잔8 회

    호롱

  • 한국-광복이후8 회

    바닥에 '十'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3-1)은 상표와 '영진 3.0MM', (3-2)는 '0', (3-3)은 '2.0MM SHIN HUNG 특제'가 있다.

  • 격자문8 회

    -

  • 백자접시8 회

    -

  • 맷돌8 회

    -

  • 써래8 회

    -

  • 베틀틀8 회

    -

  • 나무주걱8 회

    검은색 나무 주걱으로 삼지창 모양이다. 손잡이 부분에 구멍을 뚫어 나비모양 매듭을 장식했다.

  • 소쿠리8 회

    -

  • 수복무늬 백자 그릇8 회

    외면의 3면에 각각 '壽', '福', '綠'무늬가 있으며 위 아래 가로줄 무늬가 둘러져 있다. 굽바닥에는 동그라미 안에 '한도'가 써져있고 그 둘레에 '납세필ㆍ남부산세무서ㆍ'가 세겨져 있다.

  • 뚜껑8 회

    -

  • 작두8 회

    -

  • 쌍희무늬 백자뚜껑8 회

    -

  • 신전마을 입구8 회

    -

  • 제목 JIN000624-008 회

    -

  • 백자접시8 회

    -

  • 베틀부속8 회

    -

  • 8 회

    낫으로 날부분은 철, 자루부분은 나무로 제작되어 있다. (2-2)는 날부분만 남아 있다.

  • 사기 그릇8 회

    "구연에 석류모양으로 풀꽃무늬가 있음. (6-6)안쪽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쟁기8 회

    -

  • 삼칼8 회

    -

  • 두고 온 고향산천8 회

    두고 온 고향산천 스캔본

  • 홀태8 회

    -

  • 양동이8 회

    -

  • 써래8 회

    -

  • 바디8 회

    -

  • 제초기8 회

    -

  • 쟁기8 회

    -

  • 꽃무늬 녹유접시8 회

    -

  • 그리운 고향 사진첩(진안군)8 회

    그리운 고향 사진첩 스캔본

  • 빨래방망이8 회

    -

  • 홀태8 회

    -

  • 격자문8 회

    -

  • 가마니 바디8 회

    -

  • 한국-광복이후8 회

    바닥에 '十'자 모양으로 인위적인 흠집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음각으로 상표나 호수가 찍혀 있다. (3-1)은 상표와 '영진 3.0MM', (3-2)는 '0', (3-3)은 '2.0MM SHIN HUNG 특제'가 있다.

  • 쳇다리8 회

    -

  • 바디8 회

    -

  • 제초기8 회

    -

  • 떡메8 회

    -

  • 격자문8 회

    -

  • 양은 그릇8 회

    -

  • 라디오8 회

    -

  • 홀태8 회

    -

  • 쟁기8 회

    -

  • 백자찬기8 회

    바닥면에 'YOUNGLIMC ㅇㅕㅁㄹㅣㅁㄷㅗㅈㅏㄱㅣ'가 인쇄되어 있다.

  • 둥구미8 회

    -

  • 백자 그릇8 회

    백자 보시기(5-1, 2)와 접시(5-3, 4, 5)이다. (5-1)은 기벽에 음각으로 무궁화 무늬가 띠처럼 둘러져 있으며 굽바닥에 글씨와 도장무늬로 '三韓'이 써져 있다. (5-2)는 꽃잎처럼 내부에 음각선이 있고 구연이 물결무늬이다. 그릇 중앙에 붉은색 안료로 꽃술이 그려져 있다. (5-3)은 내면에 갈색으로 새우 그림이 그려져 있고 16각으로 각이진 구연에는 푸른색 안료가 칠해져 있다. (5-4)는 구연이 물결모양이며 외면에 세로로 음각선이 돌려져C

  • 백자접시8 회

    -

  • 쟁기8 회

    -

  • 옹기 항아리8 회

    흑회색 옹기항아리로 구연 일부가 결손되었다.

  • 수복무늬 녹유 그릇8 회

    -

  • 조리8 회

    -

  • 홀태8 회

    -

  • 백자종지8 회

    내저에 연꽃무늬가 둘러진 '福'무늬가 있다.

  • 갈고리8 회

    -

  • 지게와 작대기8 회

    -

  • 작두8 회

    -

  • 홀태8 회

    -

  • 보습8 회

    -

  • 연꽃잎 무늬 발8 회

    -

  • 대나무발8 회

    -

  • 호미7 회

    -

  • 격자문7 회

    -

  • 쟁기7 회

    -

  • 새우젓독7 회

    -

  • 용담댐 관련 일제강점기 진정서7 회

    -

  • 홀태7 회

    -

  • 제초기7 회

    -

  • 복무늬 백자 그릇7 회

    -

  • 국화무늬 녹유접시7 회

    BK183(2-1), BK184(3-2).

  • 홀태7 회

    -

  • 안경과 담배 시계7 회

    -

  • 지게7 회

    -

  • 옹기초병7 회

    -

  • 작두7 회

    -

  • 복무늬 백자 그릇7 회

    -

  • 인삼씨파종기7 회

    -

  • 호미7 회

    -

  • 물지게7 회

    지게에 긴 작대기를 가로로 걸고 좌우 양쪽에 쇠갈고리가 달려있다.

  • 백자 대접7 회

    "구연에 뇌문이 둘러져 있음. (11-7~11)은 백자대접으로 안쪽 바닥에 '囍'무늬가 있음. "

  • 갈퀴7 회

    -

  • 변기덮개7 회

    -

  • 용담댐 관련 농지분배 예정 조사 통지 서철7 회

    -

  • 쟁기7 회

    -

  • 도리깨7 회

    -

  • 홀태7 회

    -

  • 병풍7 회

    -

  • 스테인리스 그릇뚜껑7 회

    -

  • 방망이7 회

    -

  • 상수리무늬 녹유접시7 회

    -

  • 쟁기7 회

    -

  • 작두7 회

    -

  • 절구공이7 회

    -

  • 홀태7 회

    -

  • 제목 JIN000587-007 회

    -

  • 백자접시7 회

    -

  • 상전국민학교 우승기7 회

    -

  • 간장단지7 회

    -

  • 쟁기7 회

    -

  • 스테인리스 그릇7 회

    -

  • 사기 그릇7 회

    (7-7)굽은 부분적으로 결실 있음.

  • 물지게7 회

    -

  • 제목 JIN000625-007 회

    -

  • 포도무늬 녹유접시7 회

    -

  • 포도무늬 녹유접시7 회

    -

  • 맷돌7 회

    -

  • 밥바구니7 회

    -

  • 백자접시7 회

    BK170(3-1), BK171(3-2), BK172(3-3).

  • 새우그림 백자접시7 회

    -

  • 작두7 회

    -

  • 쌍희무늬 백자 보시기7 회

    -

  • 작두7 회

    -

  • 작두7 회

    -

  • 백자 그릇7 회

    (4-1) 내면바닥에 '囍'무늬와 그 둘레에 번개무늬가 있다. (4-2~4)는 내면 바닥에 '囍' 무늬가 있다.

  • 백자접시7 회

    -

  • 밥바구니7 회

    -

  • 약초괭이7 회

    -

  • 옹기병7 회

    -

  • 쟁기7 회

    -

  • 홀태7 회

    -

  • 호미7 회

    -

  • 밥바구니7 회

    -

  • 스테인리스 그릇뚜껑7 회

    -

  • 상장6 회

    -

  • 백자접시6 회

    -

  • 모란무늬 녹유접시6 회

    -

  • 도투마리6 회

    -

  • 쇠지게6 회

    -

  • 옥장신구6 회

    -

  • 바디집6 회

    -

  • 보습6 회

    -

  • 새우젓독6 회

    -

  • 제초기6 회

    -

  • 제초기6 회

    -

  • 모란무늬 녹유접시6 회

    -

  • 홀태6 회

    -

  • 백자종지6 회

    -

  • 도투마리6 회

    -

  • 간장단지6 회

    -

  • 둥구미6 회

    -

  • 괭이6 회

    -

  • 종지6 회

    -

  • 도끼6 회

    -

  • 멍에6 회

    -

  • 백자찬기6 회

    바닥면에 'YOUNGLIMC ㅇㅕㅁㄹㅣㅁㄷㅗㅈㅏㄱㅣ'가 인쇄되어 있다.

  • 병풍6 회

    -

  • 홀태6 회

    -

  • 쌍희무늬 백자 보시기6 회

    -

  • 유리그릇6 회

    -

  • 절구공이6 회

    -

  • 공작새무늬 녹유접시6 회

    -

  • 홀태6 회

    -

  • 홀태6 회

    -

  • 홀태6 회

    -

  • 멍에6 회

    -

  • 수키와6 회

    흑회색을 띠는 유단식 기와로 외면에 중첩된 사각형 무늬 안에 '田'자가 있다.

  • 백자종지6 회

    -

  • 용담댐 94, 98년 이주대책6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6 회

    외면에 '壽','福','綠'무늬가 있는 백자그릇이다. 굽바닥 중앙에 무궁화꽃 무늬를 두고 왼쪽에 '고', 오른쪽에 '려', 아랫쪽에 '서광주 납세필'이라 적혀있다. (2-2) 내저에 연꽃무늬가 둘러진 '福'무늬가 있다.

  • 갈유접시6 회

    -

  • 종지6 회

    -

  • 맷돌5 회

    -

  • 쟁기5 회

    -

  • 고무래5 회

    -

  • 가마니 바디5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5 회

    외면에 '壽','福','綠'무늬가 있는 백자그릇이다. 굽바닥 중앙에 무궁화꽃 무늬를 두고 왼쪽에 '고', 오른쪽에 '려', 아랫쪽에 '서광주 납세필'이라 적혀있다. (2-2) 내저에 연꽃무늬가 둘러진 '福'무늬가 있다.

  • 도투마리5 회

    -

  • 백자접시5 회

    -

  • 5 회

    -

  • 삼각형 돌칼5 회

    -

  • 복무늬 백자 그릇5 회

    -

  • 양은 그릇5 회

    -

  • 5 회

    -

  • 포도무늬 녹유접시5 회

    -

  • 녹유접시5 회

    -

  • 절구공이5 회

    -

  • 병풍5 회

    -

  • 바디5 회

    -

  • 백자찬기5 회

    바닥면에 'YOUNGLIMC ㅇㅕㅁㄹㅣㅁㄷㅗㅈㅏㄱㅣ'가 인쇄되어 있다.

  • 똥장군편5 회

    -

  • 슴베찌르개5 회

    -

  • 단지5 회

    -

  • 베틀틀5 회

    -

  • 백자접시5 회

    -

  • 도투마리5 회

    -

  • 홀태5 회

    -

  • 쟁기5 회

    -

  • 백자 사발5 회

    -

  • 쟁기5 회

    -

  • 쟁기5 회

    -

  • 쟁기5 회

    -

  • 바디5 회

    -

  • 쟁기5 회

    -

  • 베틀틀4 회

    -

  • 백자 사발4 회

    -

  • 박바가지4 회

    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바가지로 측면 일부가 갈라져 여러줄의 실로 꿰매져 있다.

  • 스테인리스 그릇4 회

    -

  • 파초무늬 녹유접시4 회

    -

  • 대산마을4 회

    -

  • 바디4 회

    -

  • 홀태4 회

    -

  • 지게4 회

    -

  • 쟁기4 회

    -

  • 새우젓독4 회

    -

  • 스테인리스 그릇뚜껑4 회

    -

  • 제초기4 회

    -

  • 베틀틀4 회

    -

  • 베틀틀4 회

    -

  • 제초기4 회

    -

  • 도끼날4 회

    -

  • 도투마리4 회

    -

  • 백자 그릇4 회

    -

  • 바디집4 회

    -

  • 제초기4 회

    -

  • 작두4 회

    -

  • 백자 그릇4 회

    -

  • 쌍희무늬 백자대접4 회

    -

  • 지게4 회

    -

  • 국화무늬 녹유접시4 회

    -

  • 외송마을 정자나무 밑 사람들4 회

    -

  • 끌개4 회

    -

  • 백자 그릇4 회

    -

  • 모란무늬 녹유접시4 회

    -

  • 대산마을4 회

    -

  • 용담댐 건설 반대 투쟁 조직 편성표4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4 회

    -

  • 베틀틀4 회

    -

  • 백자접시4 회

    -

  • 보습4 회

    -

  • 쟁기4 회

    -

  • 외송마을 외송교3 회

    -

  • 써래3 회

    -

  • 내송마을 모정에서 주민들3 회

    -

  • 내송마을 사람들3 회

    -

  • 대산마을3 회

    -

  • 쌍희무늬 백자대접3 회

    -

  • 솥뚜껑3 회

    -

  • 보습3 회

    -

  • 백자사발3 회

    백자사발이다. 굽바닥에 파란 선으로 사슴무늬가 그려져 있다.

  • 대곡마을3 회

    -

  • 상전초등학교3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3 회

    -

  • 외송마을 방앗간3 회

    -

  • 용담 정류소 간판3 회

    -

  • 대산마을 노거수3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3 회

    -

  • 도투마리3 회

    -

  • 금속부품3 회

    -

  • 보습3 회

    -

  • 상전마을 주민들의 휴식3 회

    -

  • 그릇뚜껑3 회

    -

  • 쟁기3 회

    -

  • 외송마을 3 회

    -

  • 내송마을3 회

    -

  • 스테인리스 그릇3 회

    -

  • 절구3 회

    -

  • 백자종지3 회

    내저에 연꽃무늬가 둘러진 '福'무늬가 있다.

  • 외송마을 집2 회

    -

  • 백자사발2 회

    백자사발이다. 굽바닥에 파란 선으로 사슴무늬가 그려져 있다.

  • 외송마을2 회

    -

  • 대곡마을2 회

    -

  • 외송마을 당산나무2 회

    -

  • 제초기2 회

    -

  • 홀태2 회

    -

  • 용도미상2 회

    -

  • 수복록무늬 백자그릇1 회

    -

최근 등록 자료(최근 30개)
고유아이디 카테고리 제목 등록일 상태
20241003_082033_454537_46273800용담댐자료대곡마을2024-10-03 08:20:36활성
20241003_082009_231075_38918701용담댐자료대곡마을2024-10-03 08:20:09활성
20241003_081928_260044_68365593용담댐자료내송마을 사람들2024-10-03 08:19:31활성
20241003_081853_915203_74714292용담댐자료내송마을 모정에서 주민들2024-10-03 08:18:57활성
20241003_081812_902860_72345419용담댐자료내송마을2024-10-03 08:18:16활성
20241003_081727_523391_44889662용담댐자료상전마을 주민들의 휴식2024-10-03 08:17:30활성
20241003_081640_611763_52226283용담댐자료대산마을 노거수2024-10-03 08:16:44활성
20241003_081552_506277_85568884용담댐자료상전초등학교2024-10-03 08:15:55활성
20241003_081514_306315_65582085박물관소장대산마을 방앗간2024-10-03 08:15:17활성
20241003_081434_106096_51067613용담댐자료대산마을2024-10-03 08:14:34활성
20241003_081404_352881_99601338용담댐자료대산마을2024-10-03 08:14:07활성
20241003_081328_259347_82037019용담댐자료대산마을2024-10-03 08:13:31활성
20241003_081209_013738_72362787용담댐자료외송마을 정자나무 밑 사람들2024-10-03 08:12:12활성
20241003_081130_175392_05895263용담댐자료외송마을 당산나무2024-10-03 08:11:33활성
20241003_081052_322755_00171306용담댐자료외송마을 방앗간2024-10-03 08:10:55활성
20241003_081011_567398_10449094용담댐자료외송마을2024-10-03 08:10:12활성
20241003_080945_877299_14730375용담댐자료외송마을 2024-10-03 08:09:46활성
20241003_080844_434394_74323569용담댐자료외송마을 집2024-10-03 08:08:47활성
20241003_080754_797928_39319786용담댐자료외송마을 외송교2024-10-03 08:07:55활성
20240220_160656_031927_50999883문화재주천서원 2024-02-20 16:06:57활성
20240220_160546_165305_41443388문화재천황사 부도 2024-02-20 16:05:47활성
20240220_160439_290209_64284489문화재금당사 석탑 2024-02-20 16:04:40활성
20240220_160259_862322_21300775문화재금당사 괘불탱 2024-02-20 16:03:01활성
20240220_160143_816913_14698610문화재백운면의 물레방아 2024-02-20 16:01:45활성
20240220_160005_754433_45623156문화재만육 최양선생 유허비 2024-02-20 16:00:07활성
20240220_155834_001754_61005747문화재진안향교 대성전2024-02-20 15:58:35활성
20231201_134225_071917_79046226용담댐자료대방마을 회관2023-12-01 13:42:25활성
20231201_134201_292869_55235795용담댐자료대방마을 마을역사를 많이 아는 조익선씨2023-12-01 13:42:01활성
20231201_134042_815671_37759034용담댐자료대방마을 거리제를 지내던 둥그나무 거리2023-12-01 13:40:43활성
20231201_134009_571842_21543045박물관소장대방마을 방앗간집2023-12-01 13:40:10활성